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종합소득세 신고 누구나 알기 쉽게 총정리
    세금 2025. 4. 30. 17: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월급쟁이 서재입니다. 

     

    오늘은 N잡러로 일하거나 창업을 하는 사람들이면 누구나 들어봤을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세금이라는 단어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차근차근 알아가면 생각보다 간단해요.

     

    지금부터 종합소득세부터 신고방법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종합소득세가 뭐야?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해서 내는 세금이에요.

    종합소득에는 아래 6가지 소득이 포함돼요.

    1. 이자소득: 예금·적금 이자 등
    2. 배당소득: 주식 배당 등 
    3. 사업소득: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4. 근로소득: 월급 등
    5. 연금소득: 국민연금, 개인연금 등
    6. 기타소득: 일시적으로 생긴 소득 (예: 강연료, 사례비 등)

    위에 소득이 발생한다고 무조건 종합소득세를 내야 되는 건 아니에요.

    예를 들어,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이 합쳐서 연 2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이미 금융기관(ex:은행)에서 세금을 떼고 준 것으로(원천징수) 끝낼 수 있게 해줘요.

    이것을 분리과세라고 해요. 하지만 2천만원이 초과하게 되면 다시 종합소득에 합산해서 세금을 계산해야 해요.

    다만 2천만원까지는 은행에서 세금을 뗀 15.4%로 계산하고, 2천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만 종합소득세율로 적용합니다.

     

    기타소득도 분리과세로 끝낼 수 있는 경우가 있어요.

    기타소득금액이 연간 3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둘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어요.

    여기서 말하는 300만원은 지급금액에서 필요경비를 제외한 금액을 말해요.

    예를 들어, 원고료로 750만원을 지급받은 경우,

    필요경비는 60% 인정되어 기타소득금액은 필요경비를 제외한 40%에 대한 금액인 300만원이 됩니다.

    따라서 지급금액이 750만원 이하인 경우에 분리과세, 종합과세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밖에 사적연금소득도 연간 1500만원이 초과하지 않으면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중 선택할 수 있어요.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소득세법」제14조 제3항 참조하세요.

     

    잠깐!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둘 중 뭐가 더 유리한가요?

    뭐가 더 유리한지는 소득과 공제요건에 따라 달라져요.

    보통은 다른 소득이 많아, 종합소득세율이 높아질 경우에는 기타소득을 분리하여 과세하는 것이 유리하고

    다른 소득이 적고 공제요건이 많은 경우에는 기타소득도 종합과세로 신고하는 것이 유리할 확률이 높아요.

     

    종합소득세 신고는 언제 해?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은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이에요.

    성실신고확인대상자는 5월 1일 ~ 6월 30일 이에요.

    성실신고확인 대상자란 업종별 기준에 따른 일정 수입금액 이상인 사업자를 말하며, 성실신고확인서를 첨부해 신고해야 해요.

     

    종합소득세는 누가 신고하는 거야?

    대한민국 거주자이면서 종합소득이 있는 사람이면 신고와 납부를 해야하지만 예외사항이 있어요.

    아래의 경우에는 신고를 하지 않아도 돼요.

    1. 근로소득만 있는 자(연말정산 한 경우에만)
    2. 직전연도 수입금액이 7,500만원 미만이고 보험모집인,방문판매원,계약배달판매원의 사업소득만 있는 자(연말정산 한 경우에만)
    3. 퇴직소득과 연말정산 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자
    4.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되는 소득만 있는 자

    근로소득은 이미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통해 세금을 신고, 납부했고

    나머지 대부분도 원천징수를 통해 이미 세금을 납부했기 때문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따로 하지 않아도 돼요.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소득세법」제73조를 참조하세요.

     

    그래서 종합소득세는 어떻게 신고하지?

    신고방법은 홈택스 사이트를 이용해 전자신고하거나 세무서 방문하여 서면신고하는 방법이 있어요.

     

    홈택스 사이트를 이용해 전자신고를 하게되면, 본인의 신고유형을 간단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알 수 있어요.

    먼저 홈택스에 공동인증서나 간편인증(카카오톡, 네이버, 토스 등) 등으로 로그인을 하고 아래 절차에 따르면 돼요.

    • 홈택스 >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 신고 > 맞춤신고 찾기 > 질문에 답변하기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유형 알아보는 방법

     

     

     

    이 밖에 종합소득세 전자신고 방법을 영상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는데요. 

    • 국세청 > 국세신고안내 > 동영상자료실

    유형별로 영상이 있어서 참고하시면 신고에 도움이 될 거예요.

     

    지금까지 종합소득세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종합소득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해 2편, 3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안녕히 계세요!

     

    반응형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서 면세로 쇼핑하는 방법 알기  (0) 2024.07.09
    직장인 연말정산 알기  (0) 2024.05.30
Designed by Tistory.